생활정보/육아정보

[어린이집비용비교] 어린이집 한달 비용 ㅣ가정 / 국공립과 차이는?

워킹맘한걸음 2025. 5. 23. 11:30



아이 어린이집을 알아보다 보면 가장 궁금한 게 바로 비용 차이죠.
특히 국공립 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은 운영 방식도 다르고, 부모가 부담하는 원비도 조금씩 달라요.
2025년 기준, 가정어린이집의 실제 비용을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.



가정어린이집이란?

가정어린이집은 일반 가정집 규모에서 운영되는 소규모 어린이집이에요.
보통 0세~2세 아이들 위주로 운영되고, 정원도 적어서 보다 세심한 돌봄이 가능해요.
국공립 어린이집에 비해 입소 경쟁이 덜한 편이라는 장점도 있어요.



정부 지원 보육료 (2025년)

2025년 기준으로 정부에서 지원하는 월 보육료는 다음과 같아요.
• 만 0세: 54만 원
• 만 1세: 47만 5천 원
• 만 2세: 39만 4천 원
• 만 3~5세: 28만 원 (누리과정)

이 금액은 정부가 어린이집에 직접 지원해주는 거라, 국공립이든 가정이든 기본 보육료는 동일하게 적용돼요.



그런데 왜 추가비용이 생길까?

가정어린이집은 운영 방식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추가비용이 생길 수 있어요.
대표적인 추가 부담 항목은 아래와 같아요.
• 특별활동비: 월 6만 원~6만6천 원 정도
• 기타 경비 (입학 준비비 등): 연 10만 원 안팎
• 간식비/중식비: 일부 어린이집은 별도 청구

이렇게 해서 월평균 약 7만~8만 원 정도의 실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어요.
물론 어린이집마다 차이가 있으니 입소 전 꼭 확인하는 게 좋아요.



국공립 vs 가정 어린이집, 어떻게 다를까?

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요.
• 국공립은 보육료가 거의 무료지만 입소 경쟁이 매우 치열해요.
• 가정어린이집은 비교적 입소가 쉬우며, 소규모라 돌봄이 더 밀착형이에요.
• 대신 가정어린이집은 특별활동이나 간식비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요.
• 국공립은 급식이나 프로그램이 표준화된 편이고, 가정은 조금 더 유연하고 원마다 다양해요.



정리하면

가정어린이집은 정부 보육료 지원으로 기본 비용 부담은 적지만,
원에 따라 월 7~8만 원 정도의 추가 비용이 생길 수 있어요.
비용, 환경,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비교해서 우리 아이에게 맞는 어린이집을 선택하는 게 가장 중요하겠죠!


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로 함께해 주세요!
어린이집 선택과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질문 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