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활정보/육아정보

아기 폐렴, 전염될까? | 바이러스성 vs 세균성 차이와 예방법까지

워킹맘한걸음 2025. 6. 30. 08:30

📌 아기 폐렴, 전염될까?

바이러스성 vs 세균성 차이와 예방법까지!


🍼 아기 폐렴, 전염될 수 있을까?

아기가 폐렴에 걸리면 부모로서 가장 걱정되는 건
“다른 형제자매나 가족에게도 전염될까?” 하는 부분이죠.

정답은, “폐렴 자체보다 원인균이 전염되는 것”이에요.


✅ 폐렴, 감염 경로와 전염성

  • 폐렴은 감기처럼 시작되는 바이러스/세균 감염이 폐까지 번진 상태예요.
  • 특히 RSV, 아데노바이러스, 인플루엔자, 마이코플라스마 등은
     다른 사람에게 비말(침방울)이나 접촉으로 전염될 수 있어요.
  • 아기가 기침하거나 콧물을 흘릴 때, 침 묻은 손으로 장난감을 만질 때 감염 가능해요.

✅ 폐렴 종류별 전염성

폐렴 종류 전염성 특징
바이러스성 폐렴 O (전염 강함) RSV, 독감 등 대부분 전염성 강함
세균성 폐렴 △ (간접 전염) 마이코플라스마 등 일부 세균 전염 가능
흡인성 폐렴 (비전염성) X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 발생, 전염 없음

👶 이런 상황이라면 주의해요

  • 아기가 기침, 콧물, 열이 있으면서 가족끼리 밀접 접촉하는 경우
  • 장난감, 수건, 베개 등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
  • 형제자매가 면역력이 약한 경우

➡️ 이런 경우 전염 가능성이 높아져요!


✅ 예방을 위한 엄마 체크리스트

  • 손 씻기 & 손수건 따로 쓰기
  • 아픈 아기와 다른 아이 격리하기
  • 장난감, 침구류 자주 소독하기
  • 기침 심할 경우 마스크 착용 (가능한 경우)
  • 폐렴 진단 시 외출 자제 + 충분한 휴식

🧡 우리 집 사례

우리 아이가 RSV로 인한 폐렴 진단을 받았을 때,
형제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손 닦기, 장난감 소독, 따로 재우기에 신경썼어요.
다행히 격리와 위생관리 덕분에 가족은 다 괜찮았어요!


✅ 한줄 요약

아기 폐렴은 폐렴 자체보다 원인 바이러스나 세균이 전염될 수 있어요.
위생 관리, 격리, 소독으로 가족 감염을 예방해 주세요!